출산 후에 받을 수 있는 여러 가지 출산지원 서비스를 한 번에 통합하여 신청하는 서비스를 제공하여 출산가정에 이용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제도입니다. 새롭게 바뀐 제도를 알아보고 어떻게 신청해야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 지원대상
- 신청일 기준 출산자(출산가정) 출생신고 시 또는 출생신고 이후 신청가능(출생자 주민등록번호 부여 후, 등록 처리 가능)
- 일부 서비스의 경우, 소득기준 등 추가적인 선정기준에 따라 서비스 지원이 제한될 수 있음 (해산급여, 저소득층 기저귀, 조제분유지원 등)
▣ 지원내용
1. 공통서비스는 아래와 같습니다.
- 첫 만남이용권
- 부모급여(현금)
- 양육수당
- 아동수당
- 해산급여
- 여성장애인 출산비용
- 출산가구·다자녀 전기료 경감
- 다자녀 도시가스료 경감
- 다자녀 지역난방비 경감
- 저소득층 기저귀,조제분유 지원
- KTX,SRT다자녀할인
2. 지자체 서비스는 지자체별로 상이하게 지원
▣ 신청기간
- 출생신고 시 또는 출생신고 이후
▣ 신청방법
1. 방문 신청
출생신고 시 또는 출생신고 이후, 출생자의 주민등록 주소지 읍면동 주민센터 (단, 해산급여의 경우 출산자의 주민등록 주소지에서 신청)
2. 온라인 신청
정부 24(www.gov.kr) 접속
3. 신청자격
- 출산자본인, 출산자의 배우자
- 대리인 : 출산자의 직계가족(친부모 및 시부모)만 신청 가능 * 대리신청은 방문신청만 가능
▣ 제출서류
1. 온라인 신청
간편 인증, 공동인증서 등(본인인증 필요)
2. 방문 신청
신분증, 가족관계증명서(대리신청 등)
* 저소득층 조제분유 지원, 지자체 지원 서비스 신청 또는 자격확인 연계 등이 불가한 경우, 해당 구비서류가 추가로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접수기관
- 정부 24, 읍.면.동 주민센터
▣ 지원형태
- 현금, 현물, 기타
출산 후 지원되는 서비스는 위와 같이 다양한 서비스가 있습니다. 출산 후에 지원되는 서비스가 많아 어떻게 지원해야 되는지 잘 모르셨던 분은 이렇게 서비스 통합 제공 신청이 가능하니 위의 방법으로 이용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임신 출산 진료비 지원제도 알고 신청하기
※ 임신 출산 진료비 지원 제도 확대시행일 2022.1.1 이후 지원 대상 임신 출산(유산, 사산 포함)한 건강보험가입자 또는 피부양자 2세 미만 영유아의 법정대리인(출산한 가입자 또는 피부양자가
naekok22.tistory.com
출산휴가 급여 지원 및 제출서류 신청방법 정리
임신부에 대하여 출산 전과 후를 통하여 90일 (다태아는 120일)의 출산 전후휴가를 주되 휴가기간의 배정은 출산 후에 45일(다태아는 60일) 이상이 확보되도록 출산한 여성근로자가 임금상실 없이
naekok22.tistory.com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모급여 영아수당 신청방법 지급시기 (0) | 2023.03.31 |
---|---|
첫만남이용권 출산지원금 신청방법 (0) | 2023.03.20 |
출산휴가 급여 지원 및 제출서류 신청방법 정리 (0) | 2023.03.19 |
청소년한부모 자립 지원 내용 및 신청방법 (1) | 2023.03.17 |
한부모가족 지원내용 및 혜택정보 신청방법 (1) | 2023.03.17 |